저자 : 박승수, 편집 : 장희원(미래N북스)
나는 왜 내 이야기를 쓰기로 했는가?
나는 오래도록 손으로 살아왔다.
책상에 앉아 글을 쓰기보다는, 톱과 망치를 쥐고 나무를 만지며 살아온 세월이 훨씬 길다. 그래서 글을 쓴다는 일이 내게는 낯설고 어색하다.
그렇지만 언젠가부터 내 인생도 한 번쯤은 기록해두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냥 나 혼자 가슴에 묻고 지나가기엔, 너무 많은 일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 강원도의 산골짜기에서 보낸 가난한 나날들, 남의 집에 보내졌다가 돌아오고, 욕과 싸움이 일상이던 집, 그 속에서 배움 대신 일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나는, 열세 살부터 망치를 잡았다. 목수라는 이름으로 세상과 마주했지만, 세상은 그 이름을 반기지 않았다.
배우지 못한 열등감, 낮은 자존감,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새끼손가락을 잃을 만큼 치열했던 노동, 그래도 나는 내 자리에서 묵묵히 살아왔다. 기술 하나로, 내 가족을 먹여 살리고, 교회 강대상을 만들고, 누군가에게 필요한 가구를 손수 지었다.
그 과정을 아내가 블로그에 올리기 시작했고, 어느 날부터 사람들이 나를 알아보기 시작했다. 신문에서, 방송에서, 누군가의 입소문으로 “기술 좋은 목수”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하면서 내 마음 깊은 곳에서 오랫동안 눌려 있던 무언가가 조금씩 살아났다.
이제는 내 손녀까지 함께하는 공방이 생겼고, 나는 내 이름을 걸고 일할 수 있는 공간을 갖게 되었다. 그 모든 시간이 결코 쉬운 여정은 아니었지만, 이제는 웃으며 말할 수 있다.
“그래도 잘 살아왔구나.”
이 글은 나 자신에게 쓰는 기록이고, 나처럼 가난하고 배우지 못해 위축되어 살았던 누군가에게 전하고 싶은 위로이기도 하다.
나의 이야기가 누군가에게 ‘괜찮다’라는 한 마디로 전해질 수 있다면, 이 글은 충분히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나무는 시간이 갈수록 단단해진다. 그리고 그 결 하나하나엔, 수많은 계절과 바람이 새겨져 있다. 이 책은 내 삶의 결을 따라간 이야기다.
저자 : 박승수, 편집 : 장희원(미래N북스)
강원도 산골의 가난한 어린 시절을 지나 열세 살에 망치를 쥐고 목수의 길을 걷기 시작한 그는, 배움보다 생존이 먼저였던 시대를 묵묵히 버텼다.
기술 하나로 가족을 지탱하고, 교회 강대상을 만들며, 사람의 공간을 따뜻하게 채워온 삶. 남들은 "천한 일"이라 했지만, 그는 기술에 혼을 담아 "장인"이라 불리게 되었고, 이제는 아들, 손자들과 함께 공방을 운영하며 세대를 잇는 삶을 살고 있다. 허리 병과 기관지 질환, 반복되는 실패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손끝에서 희망을 빚어낸 그의 인생은 단순한 기술자의 기록이 아닌, 위로와 공감의 이야기다.
이 책은 그의 삶의 결을 따라간 기록이자, “배우지 못해 위축된 누군가에게 전하는 위로의 한마디”이기도 하다.
- 네이버 인물 검색: 박승수
- 개인 이메일: nodem612@naver.com